• 2025. 3. 30.

    by. 빈센트 PARK

    임신을 확인하면 가장 먼저 궁금해지는 것이 "지금 몇 주차일까?"라는 점일 것입니다. 임신 주수 계산은

    출산 예정일을 파악하고, 태아의 성장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 임신 주수를 계산하는 다양한 방법과 정확한 계산법, 주의해야 할 점 등을 자세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임신 주수란?

    2. 임신 주수 계산 방법

    3. 임신 주차별 변화

    4. 임신 주수 계산 시 주의할 점

    5. 자주 묻는 질문

     

    1. 임신 주수란?

    임신 주수는 태아가 자궁에서 자라는 기간을 주 단위로 계산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임신은 40주(약 280일) 동안 진행되며, 보통 마지막 생리 시작일(LMP, Last Menstrual Period)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 임신 주수 계산의 기본 원칙

    🟠 임신 1주는 마지막 생리 시작일부터 시작

    🟠 배란과 수정은 대개 임신 2주차 무렵 발생

    🟠 임신 기간은 총 40주(2주)이며, 출산 예정일은 마지막 생리 시작일부터 280일째 되는 날

     

     

    2. 임신 주수 계산 방법

    1) 마지막 생리 시작일(LMP) 기준 계산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 마지막 생리가 시작된 날을 기준으로 임신 주수를 계산합니다.

     

    🔵 계산 방법

    🔸 마지막 생리 시작일부터 현재까지 경과한 주 수를 계산하면 현재 임신 주수가 됩니다.

    예를 들어, 마지막 생리 시작일이 2024년 1월 1일이라면, 4월 1일 기준으로 13주차에 해당합니다.

     

    2) 배란일 또는 수정일 기준 계산

    배란일을 정확히 알고 있다면, 수정일을 기준으로 임신 주수를 계산할 수도 있습니다.

     

    🔵 계산 방법

    🔸 배란일(또는 수정일) + 14일 = 마지막 생리 시작일로 가정

    🔸 수정 후 38주(266일)를 더하면 출산 예정일이 됩니다.

    예를 들어, 배란일이 2024년 1월 15일이라면, 마지막 생리 시작일은 1월 1일로 간주하고,

    이에 따라 주수를 계산하면 됩니다.

     

    3) 출산 예정일(EDC) 기준 계산

    출산 예정일을 알고 있다면, 역으로 임신 주수를 계산할 수도 있습니다.

     

    🔵 계산 방법

    🔸 출산 예정일에서 280일(40주)을 거꾸로 계산하면 마지막 생리 시작일이 도출됩니다.

    예를 들어, 출산 예정일이 2024년 10월 8일이라면, 마지막 생리 시작일은 2024년 1월 1일이 됩니다.

    현재 날짜를 기준으로 마지막 생리 시작일부터 경과한 주수를 계산하면 현재 임신 주수를 알 수 있습니다.

     

    4) 초음파 검사 기준 계산

    병원에서 초음파 검사를 통해 태아 크기를 측정하여 보다 정확한 임신 주수를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 초음파 검사로 주수를 확인하는 이유

    🔸 생리 주기가 불규칙한 경우 정확한 수정일을 모를 수 있음

    🔸 태아 성장 속도를 기준으로 산부인과에서 주수를 산정해줌

    🔸 첫 번째 초음파 검사가 가장 정확한 기준이 됨

     

     

     

    3. 임신 주차별 변화

    1) 임신 초기 (1~12주)

    🔹 태아의 심장이 뛰기 시작 (약 6주차)

    🔹 주요 장기 형성 시작

    🔹 입덧, 피로감, 유방 압통 등의 초기 증상 발생

     

    2) 임신 중기 (13~27주)

    🔸 태아의 손, 발 움직임 감지 가능

    🔸 입덧 완화, 식욕 증가

    🔸 배가 눈에 띄게 나오기 시작

     

    3) 임신 후기 (28~40주)

    🔹 태아의 폐가 발달하여 스스로 호흡 가능

    🔹 태동이 활발해짐

    🔹 출산 준비, 골반 압박감 증가

     

     

     

     

    4. 임신 주수 계산 시 주의할 점

    🔵 생리 주기가 일정하지 않다면 LMP 기준 계산은 오차가 있을 수 있음

    🔵 배란이 늦어진 경우 실제 임신 주수보다 작을 수 있음

    🔵 정확한 주수 확인을 위해 초음파 검사 병행 추천

    🔵 의사의 판단을 우선하여 출산 준비 진행

     

     

     

     

    5. 자주 묻는 질문

    🟠 생리가 불규칙한 경우 임신 주수를 어떻게 계산하나요?

    초음파 검사를 통해 태아의 크기를 기준으로 주수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 40주를 채우지 않고 출산하는 경우도 있나요?

    네, 평균적으로 37~42주 사이에 출산이 이루어집니다. 37주 이후 출산은 정상 범위에 속합니다.

     

    🟠 출산 예정일과 실제 출산일이 다를 수 있나요?

    출산 예정일은 평균적인 계산 값이므로 2주 정도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 배란이 늦어진 경우에도 마지막 생리 시작일 기준으로 계산하나요?

    네, 하지만 이 경우 실제 주수보다 적을 수 있으므로 초음파 검사 결과를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