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증은 식당, 카페, 급식소 등 위생 관련 업종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보건 위생에 안전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보건증이 있어야 합니다.
보건증발급에 대해 인터넷으로 쉽고 빠르게 발급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보건증을 받기 위해서는 연 1회 건강검진을 받아야 하며 보건증 발급을 위해서 과거에는 직접 방문하여
발급받았지만, 이제는 보건증을 인터넷으로 쉽게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목차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
1. 건강검진
보건소 또는 의료기간에서 신분증을 지참하여 건강검진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검사 : 결핵 및 장티푸스 등 검사하며 일반적으로 3 ~ 7일 이후 결과가 나옵니다.
2. 보건증 발급신청
공공보건포털 또는 정부 24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간편 인증절차 진행 후 보건증 발급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공공보건포털 접속 ⏩ 온라인 민원서비스 ⏩ 제증명발급 ⏩ 건강진단결과서(보건증) 클릭
✅정부 24 홈페이지 접속 ⏩ 건강진단결과서 검색 후 발급신청 클릭
3. 보건증 출력 또는 PDF 파일 저장
✅ 보건증 인터넷발급받으셨다면 프린터를 연결하여 출력하실 수 있습니다.
✅ 온라인 제출이 필요한 경우 PDF 파일로 저장하여 사용하실 수 있으며 추후 보건증이 필요한 경우를 대비하여
발급받은 보건증은 잘 보관해 두시기 바랍니다.
보건증 발급 수수료
보건증 발급수수료는 지역별 보건소 또는 각 의료기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보건소 : 3,000원 ~ 5,000원
✅ 의료기관 : 10,000원 ~ 30,000원
보건증 유효기간
보건증 유효기간은 건강진단을 받은 날부터 계산되며 업종별로 다르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 식품업 종사자 : 유효기간 1년
✅ 급식소 종사자 : 유효기간 6개월
✅ 유흥업소 종사자 : 유효기간 3개월
보건증은 유효기간 만료일 전. 후 30일 이내 반드시 건강검진을 받아야 하며 보건증이 없는 경우 취업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보건증 관련 자주 묻는 질문
✅ 보건증 인터넷 발급 어떤 경우 안 되나요?
건강검진을 받은 보건소에서 전산 등록이 안 되는 경우 또는 건강검진 후 1년이 지난 경우 인터넷 발급이
불가합니다.
✅ 보건증을 분실한 경우 재발급이 가능한가요?
인터넷(정부 24) 또는 보건소에서 재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 보건증 없이 근무하면 어떻게 되나요?
보건증 없이 근무할 경우 위생법 위반으로 사업자에게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보건증은 식품 및 위생 관련 업종에서 종사하시는 분들에게 필수적인 서류이며 인터넷으로 쉽고 간편하게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보건소 또는 의료기간에서 건강검진만 받으면, 집에서도 공공보건포털이나 정부 24에서 출력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