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4. 5.

    by. 빈센트 PARK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는 부동산을 취득하는 경우 내야 되는 세금입니다. 취득세와 등록세를 계산하려고 하면

    생각보다 복잡하고 애매해서 당황스러울 수 있습니다.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 계산하기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 계산하기

    2025년 기준으로 변경된 취득세와 등록세 계산법을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 보았습니다.
    실거래가 기준, 주택 유형별 세율, 절세 포인트까지 모두 안내드릴게요!

     

     

     

     

    목차

    1.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란?

    2. 취득세 계산 기준

    3. 2025년 주택 취득세율

    4. 부동산 등록세 계산

    5. 부동산 세금 절세 팁

    6. 자주 묻는 질문

     

     

     

    1.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란?

    1) 취득세

    취득세는 말 그대로 부동산을 새롭게 취득하게 될 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매매, 상속, 증여, 분양 등 어떤 방식으로든 부동산을 취득하면 과세 대상이 됩니다.

     

    2) 등록세

    등록세는 예전에는 따로 부과되었지만, 지금은 지방교육세와 농어촌특별세로 나뉘어 취득세에

    부가되는 형식으로 함께 계산됩니다.

    즉, 현재는 취득세를 기준으로 관련 부가세금이 함께 부과되는 구조라고 보시면 됩니다.

     

     

     

     

    2. 취득세 계산 기준

    2025년 기준 취득세 산정은 대부분 실거래가를 기준으로 진행됩니다. 다만, 상속이나 증여와 같은

    특수한 경우에는 시가표준액을 적용하는 사례도 있으니 꼭 거래 유형에 따라 기준을 확인하셔야 해요.

     

     

     

     

    3. 2025년 주택 취득세율

    2025년 현재 적용되는 기본적인 주택 취득세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 계산하기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 계산하기

     

    🟠 취득가액 6억 이하 : 1%

    🟠 취득가액 6억 초과 ~ 9억 이하 : 1.01 ~ 2.99%

    🟠 취득가액 9억 초과 : 3%

     

     

     

    4. 부동산 등록세 계산

    부동산 등록세는 현재는 별도 존재하지 않으며, 취득세를 낼 때 지방교육세와 농어촌특별세를 내야 합니다.

     

    🔵 지방교육세 : 취득세의 10% 부과

    🔵 농어촌특별세 : 취득세의 10% 부과

     

    단, 농어촌특별세는 국민주택규모 85 제곱미터 이하 주택을 취득하는 경우 면제됩니다.

     

     

    ✅ 취득세, 등록세 계산 예시

     

    국민주택규모의 3억 주택 구입하는 경우

     

    🔸 취득세 : 3억 x 1% : 300 만원

    🔸 지방교육세 : 취득세 300 만원 x 10% : 30 만원

    🔸 농어촌특별세  : 취득세 300 만원 x 10% : 30 만원

     

    ➤ 취득세, 등록세 총 납부금액 : 360 만원

     

     

     

     

     

    5. 부동산 세금 절세 팁

    부동산 취득 시 조금만 신경 쓰면 절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 1세대 1주택 기준 유지하기
    과세 혜택을 가장 크게 받을 수 있습니다.

     

    🔵 타이밍 조절 중요
    잔금일 전. 후로 2주택 이상이 되지 않도록 조정

     

    🔵 증여보다 매매가 유리한 경우도 있음
     증여세가 더 높게 나올 수 있습니다.

     

     

     

     

    6. 자주 묻는 질문

    🟠 부동산 취득세는 언제까지 납부해야 하나요?

    부동산을 취득한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납부해야 합니다.
    이때 말하는 ‘취득일’은 잔금 지급일 또는 소유권 이전등기일 중 빠른 날짜를 기준으로 합니다.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 계산하기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 계산하기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 계산하기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 계산하기

     

    🟠 전세로 살다가 집을 매매하게 되면, 취득세는 어떻게 되나요?

    전세로 살던 집을 매매로 전환하여 구입하면, 그 시점부터 실제 소유권을 취득하는 것이므로
    취득세가 부과됩니다. 기존 거주 형태가 전세였든 월세였든, ‘소유’가 되는 순간 세금이 발생합니다.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 계산하기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 계산하기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 계산하기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 계산하기

     

    🟠 부모님께 증여받은 경우도 취득세를 내야 하나요?

    네, 증여는 무상으로 소유권을 넘기는 방식이지만 취득세는 발생합니다. 증여 시에는 시가표준액

    기준으로 3.5%의 세율이 적용되고, 이 외에도 증여세는 별도로 국세청에서 부과됩니다.

    즉, 증여를 받으면 취득세 + 증여세 두 가지 세금이 함께 따라옵니다.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 계산하기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 계산하기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 계산하기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 계산하기

     

    🟠 1가구 1주택 감면 혜택은 어떤 경우에 받을 수 있나요?

    일정 기준을 충족하면 1세대 1 주택자에게는 취득세 감면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 계산하기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 계산하기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 계산하기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 계산하기

     

    🟠 오피스텔도 취득세를 내나요?

     네, 오피스텔도 부동산이기 때문에 당연히 취득세가 부과됩니다.
    다만 오피스텔이 주거용도로 쓰이는지, 업무용도로 쓰이는지에 따라 세율이 달라집니다.

    주거용 오피스텔: 주택으로 간주되어 일반 주택세율(1.1%) 적용

    업무용 오피스텔: 상업용으로 분류되어 4.6% 세율 적용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 계산하기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 계산하기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 계산하기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 계산하기

     

    🟠 공동명의로 주택을 구매해도 세금은 똑같이 나오나요?

    공동명의로 구입하는 경우에도 전체 취득가액에 대한 취득세를 계산합니다.
    다만, 지분 비율에 따라 개인별 세금 부담은 나눠지게 되며,
    각자의 기존 주택 보유 여부에 따라 세율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 계산하기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 계산하기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 계산하기
    부동산 취득세 등록세 계산하기

     

     

    🟠  취득세 분할 납부나 감면 방법은 없을까요?

    원칙적으로 취득세는 일시납부가 원칙이지만, 일정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분할 납부감면 혜택

    받을 수도 있습니다.

     

    🟠 취득세 미납 시 어떤 불이익이 있나요?

    취득세 납부기한을 놓칠 경우, 가산세와 이자가 붙으며 장기 미납 시에는 압류 또는 등기 제한 등의

    행정조치가 뒤따를 수 있습니다.

     

     

     

     

    부동산 거래 시, 취득세는 절대 간과할 수 없는 주요 비용입니다. 특히 2025년부터는 다주택자 규제가

    강화되면서 세금 부담이 더욱 커질 수 있는 만큼 내 상황에 맞는 세율을 정확히 알아두는 게 중요해요.

loading